본문 바로가기

온실가스

3-1. 배출량 산정방법론-기본

반응형

제 1장. 온실가스 배출 특성 및 산정

1. 측정자료의 수치 맺음 기준

  • 활동자료 (ton) :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 (셋째 자리까지 적용)
  • 배출시설별 온실가스 배출량 (tonCO2) :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 (셋째 자리까지 적용)
  • 사업장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 : 정수로 산정
  • 질량분율 (0~1 사이의 소수) : 소수점 다섯째 자리에서 반올림 (넷째 자리까지 적용)
  • 열량계수 (MG/kg, GJ/ton, TJ/Gg) :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(둘째 자리까지 적용)

2. 석유제품의 활동자료 측정 기준

  • 기체연료 :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모든 조건은 0℃ 1기압 상태의 체적과 관련된 활동자료
  • 액체 연료 : 15℃를 기준으로 한 체적을 적용

3. 연료에 대한 세부설명

  • 혈암유 (Shale oil) : 유모혈압 (oil shale)으로부터 추출된 광물성오일로 500℃이상에서 분해건류하여 얻어짐. 석유와 유사한 성질, 나프타 성분이 적고, 등유의 제조에 적합한 유분성분 함유
  • 역청 (Bitumen) : 콜로이드구조를 가진 고체, 반고체, 점성의 탄화수소를 말함. 흑갈색 또는 갈색이며, 원유증류에서의 잔여물, 상압증류에서 오일 잔여물의 진공증류로 얻어짐. 아스팔트로 불림
  • 점결탄 (Cocking Coal) : 석탄을 건류 연소할 때 석탄입자가 연화용융하여 서로 점결하는 성질이 있는 석탄을 말하며 건류용탄, 원료탄 이라고도 함. 약점결탄 (탄소함유량 80~83%) 점결탄 (83~85%), 강점결탄 (85~95%)
반응형